> 유형분류 > [혜경궁]진찬소의궤([惠慶宮]進饌所儀軌)

UCIG002+JSK+KSM-WA.1809.1111-20090525.K22882
분류
형식분류 고서-의궤
내용분류 국왕/왕실-의례-의궤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편찬, 행사주관
단체/기관명 예조
담당자 예조판서(禮曹判書)
작성지역
지역 한성 (현재주소 : 서울특별시)
작성시기
연도 1809
월일 02/00 (음)
정보원표기 嘉慶十四年己巳二月日
형태사항
크기(cm) 세로 : 42.5, 가로 : 27.8
판본 필사본
장정 線裝
수량 1책 64장
판식 四周雙邊, 半郭 31.4 × 21.3cm, 烏絲欄, 半葉 12行 24字
재질 壯紙
표기문자 한자
비고
[청구기호]

K2-2882

[마이크로필름]

MF35-561

소장정보
원소장처 (현재주소 : )
현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현재주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 혜경궁진찬소의궤(惠慶宮進饌所儀軌)

관련문헌
[惠慶宮]進饌所儀軌
집필자
임민혁

■ 좌목(座目)

1809년(순조 9) 2월에 혜경궁 진찬의례를 거행할 때 이 업무를 담당한 진찬소의 참여자 명단이다.
관련문헌
[惠慶宮]進饌所儀軌
집필자
임민혁

■ 전교(傳敎)

1808년 12월 1일에 내년 정월 22일이 혜경궁이 관례한 지 회갑이 되는 날이어서 표리와 치사, 전문, 진찬을 올리고자 한다는 뜻을 밝힌 사실부터 시작해서, 이듬해 2월 26일에 진찬 당상과 낭청을 차출하지 않은 일은 미안하며 해당 승지를 대령하라고 한 기사까지 혜경궁의 진찬과 관련된 왕의 전교 기사를 모아놓았다.

【용어해설】
표리(表裏) : 의복의 겉감과 안감.
관련문헌
[惠慶宮]進饌所儀軌
집필자
임민혁

■ 계사(啓辭)

여령(女伶)은 보계(補階)의 중층에서 거행할 일, 공조상의원 낭청 각 1원을 차출하여 여령을 관장하게 할 일, 원역(員役)의 급료, 혜경궁의 홍개(紅蓋)를 대령할 것, 여관은 연습하게 할 것, 진찬 길일의 택일, 치사(致詞)와 전문(箋文) 표리(表裏)를 친히 바치는 의례를 첫 번은 희정당 두 번째는 중희당에서 연습할 것, 궁궐 내에서 연습할 날짜의 길일 택일 등에 관한 기사와 친히 올리는 전문과 표리, 의빈(儀賓)과 척신(戚臣)의 전문, 친히 올리는 전문과 치사, 좌우명부(左右命婦)의 치사, 의빈과 척신의 치사, 진찬 치사, 진찬 악장 등을 수록하였다.

【용어해설】
여령(女伶) : 진연 등에서 의장을 드는 여종이나 노래나 춤 또는 악기 연주 등을 맡은 기생을 일컫는 말.
보계(補階) : 연회 때 사람을 많이 참석시키기 위해 대청마루 등에 잇대어 넓게 만든 자리.
전문(箋文) : 왕실의 길사, 흉사, 영절(令節) 등에 신료가 국왕 또는 대비, 왕대비 등에게 올리는 글. 사륙체의 변려문으로 작성한다. 전률통보에 그 문서식인 '진전식(進箋式)'이 수록되어 있다.
치사(致詞) : 윗사람에게 올리는 축하의 글.
의빈(儀賓) : 조선시대 부마도위(駙馬都尉) 등과 같이 왕족의 신분이 아니면서 이와 통혼한 사람을 일컫는 말.
척신(戚臣) : 임금과 외척 관계에 있는 신하.
관련문헌
[惠慶宮]進饌所儀軌
집필자
임민혁

■ 이문(移文)

예조에서 호조병조, 공조, 상의원, 혜민서, 수원부 등에 협조를 요청하는 공문으로서, 서리 등 원역의 수효와 두 달의 삭료를 도감의 예대로 마련하여 지급할 일, 계사(計士)의 차정과 사자관(寫字官) 인찰화원(印札畵員) 책장(冊匠) 등의 요포(料布) 지급, 사령과 군사를 정해 보낼 일, 의녀와 침선비 중 빠진 수효를 시급히 뽑아 대령할 일, 봉수당에 보관중인 술잔과 술병 등을 올려보낼 일, 화성의 외고에 보관중인 은병 등을 올려보낼 일 등에 관한 내용들이다.

【용어해설】
계사(計士) : 호조에 소속되어 회계사무를 담당한 종8품의 전문직으로 도감의 업무에도 차출되었다.
사자관(寫字官) : 각종 기록물을 베껴쓰는 일을 담당한 기술직 이속(吏屬). 승문원, 규장각, 교서관 등에 소속되어 있었으며, 도감의 업무에도 차출되었다.
인찰화원(印札畵員) : 종이에 붓으로 선을 긋는 일을 담당한 화원. 도감에서는 의궤를 제작하거나 교명, 책문 등 문서를 작성할 때 상하 또는 상하좌우의 '井'자형 선을 긋기 위해 화원을 차출하였다.
책장(冊匠) : 서책의 장황을 담당한 장인.
요포(料布) : 사역된 원역에게 급료로 주는 무명이나 베. 급료를 쌀로 주는 것을 요미(料米)라 한다.
의녀(醫女) : 조선시대 궁중의 내의원이나 혜민서에 소속되었던 여자 의원. 진찬이나 가례 등의 왕실의례 때에는 도감에 차출되어 의식의 진행을 보조하기도 하였다.
침선비(針線婢) : 조선시대 궁에서 일하는 관비의 하나로 상의원과 공조에 소속되어 의복을 재봉하는 일을 담당하였다. 진찬이나 가례 등의 왕실의례 때에는 도감에 차출되어 의식의 진행을 보조하기도 하였다.
관련문헌
[惠慶宮]進饌所儀軌
집필자
임민혁

■ 내관(來關)

병조공조, 상의원, 수원부에서 예조에 회신한 공문으로, 삭료 지급과 사령 수직위군의 파견, 침선비의 정송을 각 해도에 엄칙, 봉수당에 보관중인 술잔과 술병 등은 지난 을묘년의 진찬 등에 올려보내 없으니 문적을 상고하여 시행할 일 등에 관한 내용들이다.
관련문헌
[惠慶宮]進饌所儀軌
집필자
임민혁

■ 의주(儀註)

혜경궁이 관례(冠禮)한지 회갑이 되는 해의 달을 맞아 이를 축하하기 위해 표리와 치사, 전문을 올리고 진찬하는 의례의 의절을 정리해 놓은 2종의 의주로서, 「혜경궁에게 대전과 중궁전 좌우명부 의빈 척신이 내전에서 치사와 전문 표리를 올리는 의절」과 「혜경궁에게 음식을 드리며 예를 행하는 의절」이다.
[혜경궁에게 음식을 드리며 예를 행하는 의절(惠慶宮進饌行禮儀)]
하루 전에, 상침이 그 속료를 거느리고서 혜경궁의 자리를 경춘전 북벽에 남향하여 설치하고, 인안(印案)을 자리의 동쪽에 설치하며, 향안을 전 밖의 좌우에 설치하고, 전하의 자리를 혜경궁 자리의 동쪽에 서향하여 설치한다. 왕대비의 자리를 혜경궁 자리의 서쪽에서 조금 앞에다 설치하고, 왕비의 자리를 혜경궁 자리의 서쪽에 설치하는데, 모두 동향한다. 또 왕대비의 치사안(致詞案)을 서쪽 계단의 위에 놓고, 전하의 치사안을 동쪽 계단의 위에 놓으며, 왕비의 치사안을 서계 위의 왕대비 앞에 놓고, 전하와 왕비가 바치는 치사안을 왕대비 자리의 오른쪽에 놓는다. 좌우명부의 치사안은 서계 위에서 조금 물려 놓으며, 의빈과 척신의 치사안은 동계 위에서 조금 물려 놓는다. 장악원에서는 헌현을 외정에 벌려놓고, 또 등가와 고악을 외정의 계단 위에 마련하는데 모두 땅의 마땅함에 따른다. 여집사의 거휘위를 집서문 안에서 서쪽 가까이 동향하여 설치한다.
그 날에, 승문원관은 치사를 모시고〈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의 치사함은 뒤를 따른다.〉 세장과 고취가 앞에서 인도하여 집서문 밖에 이르러 상전에게 청해서 들어가 각각 안(案)에 놓는다. 좌우명부의 시위(侍位)를 혜경궁 자리의 남쪽에서 서쪽 가까이에 설치하는데, 모두 북향한다. 또 의빈과 척신의 시위를 앞 기둥의 주렴 밖〈보계(補階) 위〉 좌우에 북향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한다.〈의빈이 왼쪽에 있고, 척신이 오른쪽에 있는다.〉 여집사는 의장을 전정 및 계단 위의 동서에 정해진 대로 설치한다. 상침은 전하의 배위를 전의 동쪽 뜰 계단 위에다 동쪽 가까이에 북향하여 설치하고, 왕대비와 왕비의 배위를 전의 서쪽 뜰 계단 위에다 서쪽 가까이에 설치하는데, 모두 북향한다. 왕대비의 배위가 조금 앞이다.〈서쪽 뜰은 안에 있고, 동쪽 뜰은 밖에 있다.〉 또 왕대비 자리 앞의 배위를 동서 계단 위에 정해진 대로 설치하고, 의빈과 척신의 배위를 각각 전하 판위의 뒤에 설치하며,〈의빈이 왼쪽에 있고 척신이 동쪽에 있는다.〉 좌우명부의 배위를 각각 왕비 판위의 뒤에 설치한다.〈좌명부가 왼쪽에 있고, 우명부가 오른쪽에 있는다.〉 또 전하의 소차를 동계 위에 설치하고, 왕대비와 왕비의 소차를 서계 위에 설치한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의 외위를 동서의 뜰 가운데에 설치한다.〈좌명부는 왼쪽이고 우명부는 오른쪽이다. 의빈은 왼쪽이고 척신은 오른쪽이다. 각각 땅의 마땅함에 따른다.〉 사찬〈여관으로 예를 아는 자가 한다.〉과 전빈의 자리는 주렴 안에 설치하며, 전언과 전찬은 남쪽에서 조금 물러나서 찬창한다. 여집사의 자리는 전 밖의 동계 위에〈보계의 중층〉 서쪽 가까이 북향하여 설치한다. 상식은 수주정(壽酒亭) 둘을 전 내의 동서에 진설하고, 또 주정(酒亭) 셋을 기둥 밖에〈하나는 동변의 기둥 밖이고, 둘은 서변의 기둥 밖인데 모두 땅의 마땅함을 따른다.〉 진설하며,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의 주탁을 계단 위의 동서에 진설한다. 또 진화반탁(進花盤卓)을 주렴 안에 진설하는데 동쪽에 있으며, 휘건함이 다음이다. 반화반탁(頒花盤卓)을 주렴 밖의 동서에 진설하고, 화준탁(花樽卓)을 계단 위의 동서에 진설한다.
3각 전에, 여관과 집사는 모두 내전의 문밖에 이르러서 사후한다. 좌우명부는 각각 예복을 갖추고서 시각에 따라 상(廂) 밖에 모여 이른다.
2각 전에, 전빈은 좌우명부를 나누어 인도하여 들어가 외위로 나아간다. 여집사는 의빈과 척신을 나누어 인도하는데, 흑단령을 하고서 들어가 외위로 나아간다.
1각 전에, 상의는 중궁전의 합문 밖에 이르러서 무릎 꿇고서 중엄을 계청하고 조금 있다가 또 외판을 아뢴다. 왕비는 적의를 갖추고 머리장식을 얹는다. 상궁은 앞에서 인도하여 나간다. 산선과 시위는 정해진 의례대로 한다. 소차로 들어간다. 상전은 대전의 합문 밖에 이르러서 무릎 꿇고서 중엄을 계청하고 조금 있다가 또 외판을 아뢴다. 전하께서는 익선관과 곤룡포를 갖추고서 나온다. 산선과 시위는 정해진 대로 한다. 여집사는 앞에서 인도하여 소차로 들어간다. 상의는 왕대비전의 합문 밖에 이르러서 무릎 꿇고서 중엄을 계청하고 조금 있다가 또 외판을 아뢴다. 왕대비는 적의를 갖추고 머리장식을 얹는다. 상궁은 앞에서 인도하여 나간다. 산선과 시위는 정해진 의례대로 한다. 소차로 들어간다. 여집사는 의빈과 척신을 나누어 인도하여 들어가 배위로 나아간다.〈주렴 밖 보계의 중층〉 전빈은 좌우명부를 나누어 인도하여 들어가 배위로 나아간다. 상의는 무릎 꿇고서 차에서 나오실 것을 계청한다. 왕비는 차에서 나온다. 상궁은 왕비를 인도하여 배위에 이르러서 북향하여 선다.〈산선과 시위는 보계에서 멈춘다.〉 여집사는 무릎 꿇고서 차에서 나오실 것을 계청한다. 전하께서는 차에서 나온다. 여집사는 전하를 인도하여 배위에 이르러서 북향하여 선다.〈산선과 시위 및 여집사는 보계에서 멈춘다.〉 상궁은 이어서 인도한다. 상의는 무릎 꿇고서 차에서 나오실 것을 계청한다. 왕대비는 차에서 나온다. 상궁은 왕대비를 인도하여 배위에 이르러서 북향하여 선다.〈산선과 시위는 보계에서 멈춘다.〉 상의는 무릎 꿇고서 내엄을 찬청하고 조금 있다가 또 외비를 아뢴다. 혜경궁은 적의를 갖추고 머리장식을 얹는다. 상궁은 앞에서 인도하여 나온다. 여집사는 무릎 꿇고서 부복하여 휘를 들었다가 일어난다.〈아래도 이와 같다.〉 헌가는 여민령지악을 연주한다. 등가는 여민령지악을 연주한다. 자리에 오른다. 향로에 연기가 오른다. 산선과 배위는 정해진 의례대로 한다. 여집사는 무릎 꿇고서 휘를 눕히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난다.〈아래도 이와 같다.〉 음악을 그친다.
헌가는 여민지악을 연주하고, 등가는 여민지악을 연주한다. 음악은 사성이다. 사찬은 재배라고 말하고, 전찬은 국궁재배흥평신을 창한다. 왕대비는 국궁재배흥평신한다. 음악을 그친다. 상궁은 왕대비를 인도하여 주렴 안으로 나아가서 동향하여 자리한다. 헌가는 여민지악을 연주하고, 등가는 여민지악을 연주한다. 사찬은 재배라고 말하고, 전찬은 국궁재배흥평신을 창한다. 전하와 왕비는 국궁재배흥평신한다. 음악을 그친다. 헌가는 여민지악을 연주하고, 등가는 여민지악을 연주한다. 상궁은 전하와 왕비를 인도하여 왕대비 자리 앞으로 향한다. 사찬은 사배라고 말하고, 전찬은 국궁사배흥평신을 창한다. 전하와 왕비는 국궁사배흥평신한다. 음악을 그친다. 상궁은 전하를 인도하여 주렴 안으로 나아가서 서향하여 자리한다. 상궁은 왕비를 인도하여 주렴 안으로 나아가서 동향하여 자리한다. 헌가는 낙양춘곡을 연주한다. 사찬은 재배라 말하고 전찬은 국궁재배흥평신을 창한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국궁재배흥평신한다.〈여집사와 전찬은 동시에 모두 창한다. 아래도 이와 같다.〉 음악을 그친다. 전빈은 좌우명부를 나누어 인도하고, 여집사는 의빈과 척신을 나누어 인도하여 왕대비 자리 앞을 향하고 다음으로 전하 자리 앞을 향하고 다음으로 왕비 자리 앞을 향한다. 헌가는 낙양춘곡을 연주한다. 사찬은 사배를 말하고 전찬은 국궁사배흥평신을 창한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국궁사배흥평신한다. 음악을 그친다.
상궁은 왕비를 인도하여 도로 배위에 이른다. 상궁은 전하를 인도하여 도로 배위에 이른다. 상궁은 왕대비를 인도하여 도로 배위에 이른다. 전찬은 무릎 꿇으시라고 창한다. 왕대비와 전하, 왕비는 무릎 꿇는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무릎 꿇는다.〈여집사와 전찬이 동시에 모두 창한다. 아래도 이와 같다.〉 헌가는 여민령지악을 연주한다. 상식은 꽃을 바친다. 음악을 그친다. 등가는 여민령지악을 연주한다. 상식은 휘건(揮巾)을 바친다. 음악을 그친다. 헌가는 여민령지악을 연주한다. 상식은 소금물을 바친다. 음악을 그친다. 헌가는 화명지악을 연주한다. 상식은 별행과(別行果)를 바친다. 음악을 그친다. 헌가는 옹희지악을 연주한다. 상식은 음식상을 바친다. 마치면, 음악을 그친다. 전찬은 부복흥평신을 창한다. 왕대비와 전하, 왕비는 부복흥평신한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부복흥평신한다. 전찬은 무릎 꿇으시라고 창한다. 왕대비와 전하, 왕비는 무릎 꿇는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무릎 꿇는다. 헌가는 청화지악을 연주한다. 상식은 소선(小膳)을 바친다. 음악을 그친다. 전찬은 부복흥평신을 창한다. 왕대비와 전하, 왕비는 부복흥평신한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부복흥평신한다.
상궁은 왕대비를 인도하여 도로 주렴 안에 이르러서 동향하여 자리한다. 상궁은 전하를 인도하여 도로 주렴 안에 이르러서 서향하여 자리한다. 상궁은 왕비를 인도하여 주렴 안에 이르러서 동향하여 자리한다. 헌가는 여민지악을 연주한다. 상식은 왕대비와 전하, 왕비께 꽃을 바친다. 음악을 그친다. 헌가는 여민지악을 연주한다. 휘건을 바친다. 음악을 그친다. 헌가는 여민지악을 연주한다. 음식상을 바친다. 마치면, 술을 바친다. 음악을 그친다. 헌가는 여민지악을 연주한다. 전찬은 꽃을 나누어 드리라고 창한다. 상복과 상식은 동서로 나뉘어 각각 좌우명부에게 꽃을 나누어준다. 상전은 동서로 나뉘어 각각 의빈과 척신에게 꽃을 나누어준다. 음악을 그친다. 여집사 2인은 동서로 나뉘어 북향하여 서서 악장을 창하기를 운운한다. 마치면, 등가는 경운연지악을 연주한다. 음악을 그친다. 헌가는 경운연지악을 연주한다. 음악을 그친다.
상궁은 왕비를 인도하여 도로 배위에 이른다. 상궁은 전하를 인도하여 도로 배위에 이른다. 상궁은 왕대비를 인도하여 도로 배위에 이른다. 전찬은 무릎 꿇으시라고 창한다. 왕대비와 전하, 왕비는 무릎 꿇는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무릎 꿇는다. 헌가는 여민지악을 연주한다. 상식은 만두를 드린다. 음악을 그친다. 전찬은 부복흥평신을 창한다. 왕대비와 전하, 왕비는 부복흥평신한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부복흥평신한다.
등가는 천년만세지곡을 연주한다. 상궁은 왕대비를 인도하여 전각 서쪽의 수주정에 이르러 북향하여 선다. 상식은 수주 제1작을 따라서 무릎 꿇고 왕대비 앞에 바친다. 왕대비는 작을 받아서 효강자희정선휘목혜빈 저하의 자리 앞에 이른다. 전찬은 무릎 꿇으시라고 창한다.〈모든 주렴 내의 찬창은 여집사가 하고, 계단 아래에서의 전창은 동시에 모두 창한다. 아래도 이와 같다.〉 왕대비와 전하, 왕비는 무릎 꿇는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무릎 꿇는다. 왕대비는 작을 상식에게 준다. 상식은 전해 받들어서 무릎 꿇고 자리 앞에 놓는다.〈상이 있다.〉 전찬은 부복흥평신을 창한다. 왕대비와 전하, 왕비는 부복흥평신한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부복흥평신한다. 음악을 그친다.
상궁은 왕대비를 인도하여 도로 배위에 이른다. 전찬은 무릎 꿇으시라고 창한다. 왕대비와 전하, 왕비는 무릎 꿇는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무릎 꿇는다. 전언은 나아가 자리 앞에 당도하여 북향하여 무릎 꿇고 대치사(代致詞)하기를 운운한다. 마치면,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도로 자리로 돌아간다. 전찬은 부복흥평신을 창한다. 왕대비와 전하, 왕비는 부복흥평신한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부복흥평신한다.
상궁은 왕대비를 인도하여 효강자희정선휘목혜빈 저하의 자리 앞에 이른다. 전찬은 무릎 꿇으시라고 창한다. 왕대비와 전하, 왕비는 무릎 꿇는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무릎 꿇는다. 상의는 나아가 자리 앞에 당도하여 무릎 꿇고 선지(宣旨)를 아뢰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물러나서 서향하여 무릎 꿇고 선지하기를, “거상(擧觴)하는 날에 왕대비와 함께 하노라.”라고 한다. 헌가는 청평지악을 연주한다. 등가는 청평지악을 연주한다. 술잔을 든다. 상식은 나아가 빈 술잔을 받아서 주정에 돌려놓는다. 전찬은 부복흥평신을 창한다. 왕대비와 전하, 왕비는 부복흥평신한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부복흥평신한다. 음악을 그친다. 상궁은 왕대비를 인도하여 주렴 안에 이르러서 동향하여 자리한다.
등가는 오운개서조지악을 연주한다. 상궁은 전하를 인도하여 전각 동쪽의 수주정에 이르러 북향하여 선다. 상식은 수주 제2작을 따라서 무릎 꿇고 전하 앞에 바친다. 전하는 작을 받아서 효강자희정선휘목혜빈 저하의 자리 앞에 이른다. 전찬은 무릎 꿇으시라고 창한다. 전하와 왕비는 무릎 꿇는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무릎 꿇는다. 전하는 작을 상식에게 준다. 상식은 전해 받들어서 무릎 꿇고 자리 앞에 놓는다.〈상이 있다.〉 전찬은 부복흥평신을 창한다. 왕대비와 전하, 왕비는 부복흥평신한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부복흥평신한다. 음악을 그친다.
상궁은 전하를 인도하여 도로 배위에 이른다. 전찬은 무릎 꿇으시라고 창한다. 전하와 왕비는 무릎 꿇는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무릎 꿇는다. 전언은 나아가 자리 앞에 당도하여 북향하여 무릎 꿇고 대치사하기를 운운한다. 마치면,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도로 자리로 돌아간다. 전찬은 부복흥평신을 창한다. 전하와 왕비는 부복흥평신한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부복흥평신한다.
상궁은 전하를 인도하여 효강자희정선휘목혜빈 저하의 자리 앞에 이른다. 전찬은 무릎 꿇으시라고 창한다. 전하와 왕비는 무릎 꿇는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무릎 꿇는다. 상의는 나아가 자리 앞에 당도하여 무릎 꿇고 선지를 아뢰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물러나서 동향하여 무릎 꿇고 선지하기를, “거상하는 날에 전하와 함께 하노라.”라고 한다. 헌가는 환환곡을 연주한다. 등가는 환환곡을 연주한다. 술잔을 든다. 상식은 나아가 빈 술잔을 받아서 주정에 돌려놓는다. 전찬은 부복흥평신을 창한다. 전하와 왕비는 부복흥평신한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부복흥평신한다. 음악을 그친다. 상궁은 전하를 인도하여 도로 배위에 이른다.
등가는 보허자령지악을 연주한다. 상궁은 왕비를 인도하여 전각 서쪽의 수주정에 이르러 북향하여 선다. 상식은 수주 제3작을 따라서 무릎 꿇고 왕비 앞에 바친다. 왕비는 작을 받아서 효강자희정선휘목혜빈 저하의 자리 앞에 이른다. 전찬은 무릎 꿇으시라고 창한다. 전하와 왕비는 무릎 꿇는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무릎 꿇는다. 왕비는 작을 상식에게 준다. 상식은 전해 받들어서 무릎 꿇고 자리 앞에 놓는다.〈상이 있다.〉 전찬은 부복흥평신을 창한다. 왕대비와 전하, 왕비는 부복흥평신한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부복흥평신한다. 음악을 그친다.
상궁은 왕비를 인도하여 도로 배위에 이른다. 전찬은 무릎 꿇으시라고 창한다. 전하와 왕비는 무릎 꿇는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무릎 꿇는다. 전언은 나아가 자리 앞에 당도하여 북향하여 무릎 꿇고 대치사하기를 운운한다. 마치면,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도로 자리로 돌아간다. 전찬은 부복흥평신을 창한다. 전하와 왕비는 부복흥평신한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부복흥평신한다.
상궁은 왕비를 인도하여 효강자희정선휘목혜빈 저하의 자리 앞에 이른다. 전찬은 무릎 꿇으시라고 창한다. 전하와 왕비는 무릎 꿇는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무릎 꿇는다. 상의는 나아가 자리 앞에 당도하여 무릎 꿇고 선지를 아뢰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물러나서 서향하여 무릎 꿇고 선지하기를, “거상하는 날에 왕비와 함께 하노라.”라고 한다. 헌가는 하운봉지악을 연주한다. 등가는 하운봉지악을 연주한다. 술잔을 든다.〈왕대비는 자리를 떠나서 국궁하고 나아간다. 마치면, 자리로 돌아간다.〉 상식은 나아가 빈 술잔을 받아서 주정에 돌려놓는다. 전찬은 부복흥평신을 창한다. 전하와 왕비는 부복흥평신한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부복흥평신한다. 음악을 그친다. 상궁은 왕비를 인도하여 도로 배위에 이른다.
등가는 여민지악을 연주한다. 상궁은 전하를 인도하여 왕대비의 주정에 이르러 북향하여 선다. 상식은 술을 따라서 무릎 꿇고 전하 앞에 바친다. 전하는 작을 받아서 왕대비의 자리 앞에 이른다. 전찬은 무릎 꿇으시라고 창한다. 전하와 왕비는 무릎 꿇는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무릎 꿇는다. 전하는 작을 상식에게 준다. 상식은 전해 받들어서 무릎 꿇고 자리 앞에 놓는다. 음악을 그친다. 헌가는 여민지악을 연주한다. 술잔을 든다. 상식은 나아가 빈 술잔을 받아서 주정에 돌려놓는다. 전찬은 부복흥평신을 창한다. 전하와 왕비는 부복흥평신한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부복흥평신한다. 음악을 그친다. 상궁은 전하를 인도하여 도로 배위에 이른다. 전찬은 부복흥평신을 창한다. 전하와 왕비는 부복흥평신한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부복흥평신한다. 상기는 치사함을 받들어서 무릎 꿇고 왕대비 자리의 오른쪽에 놓는다. 전찬은 부복흥평신을 창한다. 전하와 왕비는 부복흥평신한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부복흥평신한다. 상궁은 전하를 인도하여 도로 주렴 안에 이르러서 서향하여 자리한다.
등가는 여민지악을 연주한다. 상궁은 왕비를 인도하여 왕대비의 주정에 이르러 북향하여 선다. 상식은 술을 따라서 무릎 꿇고 왕비 앞에 바친다. 왕비는 작을 받아서 왕대비의 자리 앞에 이른다. 전찬은 무릎 꿇으시라고 창한다. 왕비는 무릎 꿇는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무릎 꿇는다. 왕비는 작을 상식에게 준다. 상식은 전해 받들어서 무릎 꿇고 자리 앞에 놓는다. 음악을 그친다. 등가는 여민지악을 연주한다. 술잔을 든다.〈전하는 자리를 떠나서 국궁하고 나아간다. 마치면, 자리로 돌아간다.〉 상식은 나아가 빈 술잔을 받아서 주정에 돌려놓는다. 전찬은 부복흥평신을 창한다. 왕비는 부복흥평신한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부복흥평신한다. 음악을 그친다. 상궁은 전하를 인도하여 도로 배위에 이른다. 전찬은 부복흥평신을 창한다. 전하와 왕비는 부복흥평신한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부복흥평신한다. 상궁은 왕비를 인도하여 도로 배위로 돌아간다. 전찬은 부복흥평신을 창한다. 왕비는 부복흥평신한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부복흥평신한다. 상기는 치사함을 받들어서 무릎 꿇고 왕대비 자리의 오른쪽에 놓는다. 전찬은 부복흥평신을 창한다. 왕비는 부복흥평신한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부복흥평신한다. 상궁은 왕비를 인도하여 도로 주렴 안에 이르러서 동향하여 자리한다.
상궁은 왕비를 인도하여 배위에 이르러서 왕대비 자리의 앞을 향한다. 상궁은 전하를 인도하여 배위에 이르러서 왕대비 자리의 앞을 향한다. 전빈은 좌우명부를 나누어 인도하고 여집사는 의빈과 척신을 나누어 인도하여 왕대비 자리의 앞을 향한다. 헌가는 여민지악을 연주한다. 사찬은 사배하라고 말한다. 전찬은 국궁사배흥평신을 창한다. 전하와 왕비는 국궁사배흥평신한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국궁사배흥평신한다. 음악을 그친다. 상궁은 전하를 인도하여 주렴 안에 이르러서 서향하여 자리한다. 상궁은 왕비를 인도하여 주렴 안에 이르러서 동향하여 자리한다.
등가는 정읍만기지악을 연주한다. 전빈은 좌명부의 반수(班首)를 인도하여 수주정의 동쪽에 이르러 북향하여 선다. 상식은 수주 제4작을 따라서 좌명부의 반수에게 준다. 좌명부 반수는 작을 받아서 효강자희정선휘목혜빈 저하의 자리 앞에 이른다. 전찬은 무릎 꿇으시라고 창한다. 좌명부 반수는 무릎 꿇는다. 좌명부는 모두 무릎 꿇는다. 좌명부 반수는 작을 상식에게 준다. 상식은 전해 받들어서 무릎 꿇고 자리 앞에 놓는다. 좌명부 반수는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나가서 배위로 가서 무릎 꿇는다. 음악을 그친다.
전언은 나아가 자리 앞에 당도하여 북향하여 무릎 꿇고 대치사하기를 운운한다. 마치면,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도로 자리로 돌아간다. 상의는 나아가 자리 앞에 당도하여 무릎 꿇고 선지를 아뢰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서 나가 계단에 임하여 서향하여 서서 선지하기를, “거상하는 날에 좌명부와 함께 하노라.”라고 한다. 헌가는 유황지곡을 연주한다. 등가는 유황지곡을 연주한다. 술잔을 든다.〈왕대비와 전하, 왕비는 자리를 떠나서 국궁하고 나아간다. 마치면, 자리로 돌아간다. 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국궁하고 나아갔다가 끝나면 평신한다.〉 상식은 나아가 빈 술잔을 받아서 주정에 돌려놓는다. 전찬은 부복흥평신을 창한다. 좌명부는 부복흥평신한다. 음악을 그친다.
등가는 보허자령지악을 연주한다. 전빈은 우명부의 반수를 인도하여 수주정의 동쪽에 이르러 북향하여 선다. 상식은 수주 제5작을 따라서 우명부의 반수에게 준다. 우명부의 반수는 작을 받아서 효강자희정선휘목혜빈 저하의 자리 앞에 이른다. 전찬은 무릎 꿇으시라고 창한다. 우명부의 반수는 무릎 꿇는다. 우명부는 모두 무릎 꿇는다. 우명부의 반수는 작을 상식에게 준다. 상식은 전해 받들어서 무릎 꿇고 자리 앞에 놓는다. 우명부의 반수는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나가서 배위로 가서 무릎 꿇는다. 음악을 그친다.
전언은 나아가 자리 앞에 당도하여 북향하여 무릎 꿇고 대치사하기를 운운한다. 마치면,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도로 자리로 돌아간다. 상의는 나아가 자리 앞에 당도하여 무릎 꿇고 선지를 아뢰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서 나가 계단에 임하여 서향하여 서서 선지하기를, “거상하는 날에 우명부와 함께 하노라.”라고 한다. 헌가는 천년만세지악을 연주한다. 등가는 천년만세지악을 연주한다. 술잔을 든다.〈왕대비와 전하, 왕비는 자리를 떠나서 국궁하고 나아간다. 마치면, 자리로 돌아간다. 좌명부와 의빈, 척신은 국궁하고 나아갔다가 끝나면 평신한다.〉 상식은 나아가 빈 술잔을 받아서 주정에 돌려놓는다. 전찬은 부복흥평신을 창한다. 우명부는 부복흥평신한다. 음악을 그친다. 전빈은 좌우명부를 나누어 인도하여 각각 자리로 나아가 앉는다.
등가는 정읍만기지악을 연주한다. 전찬은 무릎 꿇으라고 창한다. 의빈의 반수는 무릎 꿇는다. 의빈은 모두 무릎 꿇는다. 여관은 수주 제6작을 따라서 여집사에게 준다. 여집사는 작을 받아서 의빈의 반수에게 준다. 의빈의 반수는 작을 받아서 여집사에게 준다. 여집사는 작을 받아서 여관에게 준다. 여관은 전해 받들어서 자리 앞에 놓는다. 전찬은 부복흥평신을 창한다. 의빈은 부복흥평신한다. 음악을 그친다. 전찬은 무릎 꿇으시라고 창한다. 의빈의 반수는 무릎 꿇는다. 의빈은 모두 무릎 꿇는다.
전언은 나아가 자리 앞에 당도하여 북향하여 무릎 꿇고 대치사하기를 운운한다. 마치면,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도로 자리로 돌아간다. 상의는 나아가 자리 앞에 당도하여 무릎 꿇고 선지를 아뢰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서 나가 계단에 임하여 동향하여 서서 선지하기를, “거상하는 날에 의빈과 함께 하노라.”라고 한다. 헌가는 청평지악을 연주한다. 등가는 청평지악을 연주한다. 술잔을 든다.〈왕대비와 전하, 왕비는 자리를 떠나서 국궁하고 나아간다. 마치면, 자리로 돌아간다. 좌우명부와 척신은 자리를 떠나 국궁하고 나아갔다가 끝나면 자리로 나아간다.〉 상식은 나아가 빈 술잔을 받아서 주정에 돌려놓는다. 전찬은 부복흥평신을 창한다. 의빈은 부복흥평신한다. 음악을 그친다.
등가는 여민령지악을 연주한다. 전찬은 무릎 꿇으라고 창한다. 척신의 반수는 무릎 꿇는다. 척신은 모두 무릎 꿇는다. 여관은 수주 제7작을 따라서 여집사에게 준다. 여집사는 작을 받아서 척신의 반수에게 준다. 척신의 반수는 작을 받아서 여집사에게 준다. 여집사는 작을 받아서 여관에게 준다. 여관은 전해 받들어서 자리 앞에 놓는다. 전찬은 부복흥평신을 창한다. 척신은 부복흥평신한다. 음악을 그친다. 전찬은 무릎 꿇으시라고 창한다. 척신의 반수는 무릎 꿇는다. 척신은 모두 무릎 꿇는다.
전언은 나아가 자리 앞에 당도하여 북향하여 무릎 꿇고 대치사하기를 운운한다. 마치면,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도로 자리로 돌아간다. 상의는 나아가 자리 앞에 당도하여 무릎 꿇고 선지를 아뢰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서 나가 계단에 임하여 동향하여 서서 선지하기를, “거상하는 날에 척신과 함께 하노라.”라고 한다. 헌가는 태평년지악을 연주한다. 등가는 태평년지악을 연주한다. 술잔을 든다.〈왕대비와 전하, 왕비는 자리를 떠나서 국궁하고 나아간다. 마치면, 자리로 돌아간다. 좌우명부와 의빈은 자리를 떠나 국궁하고 나아갔다가 끝나면 자리로 나아간다.〉 상식은 나아가 빈 술잔을 받아서 주정에 돌려놓는다. 전찬은 부복흥평신을 창한다. 척신은 부복흥평신한다. 음악을 그친다.
전빈은 좌우명부를 나누어 인도하여 도로 배위로 나아간다. 상궁은 왕대비를 인도하여 도로 배위로 나아간다. 상궁은 전하를 인도하여 도로 배위로 나아간다. 상궁은 왕비를 인도하여 도로 배위로 나아간다. 전찬은 무릎 꿇으시라고 창한다. 왕대비와 전하, 왕비는 무릎 꿇는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무릎 꿇는다. 전찬은 삼고두를 창한다. 왕대비와 전하, 왕비는 삼고두를 한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삼고두를 한다. 전찬은 산호를 창한다. 왕대비와 전하, 왕비는 손을 껴서 이마에 대고 천세라 한다. 산호를 창한다. 천세라 한다. 재산호를 창한다. 천천세라 한다.〈무릇 천세를 외치는 것은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 및 뜰에 있는 자는 모두 일제히 소리 질러 응한다.〉 헌가는 여민지악을 연주한다. 등가는 여민지악을 연주한다. 전찬은 부복흥재배흥평신을 창한다. 왕대비와 전하, 왕비는 부복흥재배흥평신한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부복흥재배흥평신한다. 음악을 그친다. 상궁은 왕대비를 인도하여 자리로 나아가 앉는다. 상궁은 전하를 인도하여 자리로 나아가 앉는다. 상궁은 왕비를 인도하여 자리로 나아가 앉는다. 전빈은 좌우명부를 나누어 인도하여 자리로 나아가 앉는다. 여관은 의빈과 척신을 나누어 인도하여 자리로 나아가 앉는다.
헌가는 낙양춘곡을 연주한다. 상식은 탕을 바친다.〈왕대비와 전하, 왕비는 자리를 떠나 국궁하고 나아갔다가 끝나면 자리로 돌아간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자리를 떠나 국궁하고 나아갔다가 끝나면 자리로 나아간다.〉 음악을 그친다.
헌가는 낙양춘곡을 연주한다. 상식은 왕대비와 전하, 왕비 앞에 별행과를 바친다. 음악을 그친다. 헌가는 낙양춘곡을 연주한다. 상식은 왕대비와 전하, 왕비 앞에 탕을 바친다. 음악을 그친다.
등가는 순안지악을 연주한다. 상궁은 왕대비를 인도하여 효강자희정선휘목혜빈 저하의 자리 앞에 이른다. 전찬은 무릎 꿇으시라고 말한다. 왕대비는 무릎 꿇는다.〈전하와 왕비는 자리를 떠나 무릎 꿇는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자리를 떠나 국궁한다.〉 상식은 왕대비의 주정에 이르러서 작에 술을 따라 무릎 꿇고서 효강자희정선휘목혜빈 저하의 자리 앞에 바친다. 혜빈 저하는 작을 받아서 상식에게 준다. 상식은 무릎 꿇고 작을 받아서 무릎 꿇고 왕대비 앞에 바친다. 왕대비는 작을 받아서 들어 마신다. 마치면, 전찬은 부복흥평신을 창한다. 왕대비는 작을 들고서 부복흥평신하고 주정에 이른다.〈전하와 왕비는 부복흥국궁한다.〉 상식은 무릎 꿇고 작을 받아서 주정에 돌려놓는다. 상궁은 왕대비를 인도하여 도로 자리로 나아간다.〈전하와 왕비는 자리로 나아가 앉는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각각 자리로 나아간다.〉 음악을 그친다.
등가는 태평년지악을 연주한다. 상궁은 전하를 인도하여 효강자희정선휘목혜빈 저하의 자리 앞에 이른다. 전찬은 무릎 꿇으시라고 말한다. 전하는 무릎 꿇는다.〈왕비는 자리를 떠나 무릎 꿇는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자리를 떠나 국궁한다.〉 상식은 전하의 주정에 이르러서 작에 술을 따라 무릎 꿇고서 효강자희정선휘목혜빈 저하의 자리 앞에 바친다. 혜빈 저하는 작을 받아서 상식에게 준다. 상식은 무릎 꿇고 작을 받아서 무릎 꿇고 전하 앞에 바친다. 전하는 작을 받아서 들어 마신다. 마치면, 전찬은 부복흥평신을 창한다. 왕대비는 작을 들고서 부복흥평신하고 주정에 이른다.〈왕비는 부복흥한다.〉 상식은 무릎 꿇고 작을 받아서 주정에 돌려놓는다. 상궁은 전하를 인도하여 도로 자리로 나아간다.〈왕비는 자리로 나아가 앉는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각각 자리로 나아간다.〉 음악을 그친다.
등가는 태평년지악을 연주한다. 상궁은 왕비를 인도하여 효강자희정선휘목혜빈 저하의 자리 앞에 이른다. 전찬은 무릎 꿇으시라고 말한다. 왕비는 무릎 꿇는다.〈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자리를 떠나 국궁한다.〉 상식은 왕비의 주정에 이르러서 작에 술을 따라 무릎 꿇고서 효강자희정선휘목혜빈 저하의 자리 앞에 바친다. 혜빈 저하는 작을 받아서 상식에게 준다. 상식은 무릎 꿇고 작을 받아서 무릎 꿇고 왕비 앞에 바친다. 왕비는 작을 받아서 들어 마신다. 마치면, 전찬은 부복흥평신을 창한다. 왕대비는 작을 들고서 부복흥평신하고 주정에 이른다. 상식은 무릎 꿇고 작을 받아서 주정에 돌려놓는다. 상궁은 왕비를 인도하여 도로 자리로 나아간다.〈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각각 자리로 나아간다.〉 음악을 그친다.
전선은 각각 좌우명부의 찬탁 앞으로 나아가 술을 돌린다. 여집사는 각각 의빈과 척신의 찬탁에 술을 돌린다. 등가는 태평년지악을 연주한다.〈술이 이미 두루 하였으면, 제8작 이하부터는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 중에서 아뢰어 자지(慈旨)를 받들어서 차례로 작을 바치는데, 위의 의례대로 한다.〉 음악을 그친다.
헌가는 태평년지악을 연주한다. 상식은 소선을 바친다. 대선을 바친다. 음악을 그친다. 여집사 2인은 동서로 나뉘어 북향하여 서서 악장을 창하기를 운운한다. 마치면, 등가는 태안지악을 연주한다. 헌가는 태안지악을 연주한다. 음악을 그친다.
헌가는 낙양춘곡을 연주한다. 등가는 낙양춘곡을 연주한다. 상식은 효강자희정선휘목혜빈 저하와 왕대비, 전하, 왕비 앞에 이르러서 상을 치운다. 음악을 그친다. 전선은 각각 좌우명부의 탁자를 치운다. 여집사는 각각 의빈과 척신의 탁자를 치운다. 전찬은 일어나도 좋다고 창한다.
여집사는 의빈과 척신을 나누어 인도하여 배위로 나아간다. 전빈은 좌우명부를 나누어 인도하여 내려가 배위로 나아간다. 상궁은 왕대비를 인도하여 도로 배위에 이른다. 상궁은 전하를 인도하여 도로 배위에 이른다. 상궁은 왕비를 인도하여 도로 배위에 이른다. 헌가는 여민지악을 연주한다. 등가는 여민지악을 연주한다. 사찬은 재배를 말하고 전찬은 국궁재배흥평신을 창한다. 왕대비는 국궁재배흥평신한다. 음악을 그친다. 헌가는 여민지악을 연주한다. 등가는 여민지악을 연주한다. 전찬은 국궁재배흥평신을 창한다. 전하와 왕비는 국궁재배흥평신한다. 음악을 그친다. 헌가는 낙양춘곡을 연주한다. 전찬은 국궁재배흥평신을 창한다. 좌우명부와 의빈, 척신은 국궁재배흥평신한다. 음악을 그친다.
상의는 나아가 자리 앞에 당도하여 무릎 꿇고 예필을 아뢴다. 전찬은 예필을 창한다. 여집사는 무릎 꿇었다가 부복하고 휘를 들고서 일어난다. 헌가는 여민령지악을 연주한다. 등가는 여민령지악을 연주한다. 효강자희정선휘목혜빈 저하는 자리에서 내려가 내전으로 돌아간다. 상궁이 앞에서 인도한다. 산선과 배위는 정해진 의례대로 한다.〈상기는 각각 치사함을 받들고서 내전으로 들어간다.〉 여집사는 무릎 꿇고서 휘를 눕히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난다. 음악을 그친다. 상궁은 왕대비를 인도하여 나간다. 산선과 시위는 정해진 의례대로 한다. 상궁은 전하를 인도하여 나간다. 산선과 시위는 정해진 의례대로 한다.〈여집사는 보계 아래에서 받들어 인도한다.〉 상궁은 왕비를 인도하여 나간다. 산선과 시위는 정해진 의례대로 한다. 전빈은 좌우명부를 나누어 인도하여 나간다. 여집사는 의빈과 척신을 나누어 인도하여 나간다.

【용어해설】
진화반탁(進花盤卓) : 꽃을 드리고자 담는 쟁반을 놓는 탁자.
관련문헌
[惠慶宮]進饌所儀軌
집필자
임민혁

■ 감결(甘結)

예조에서 공조, 선공감, 제용감 등 각 기관에 협조를 요청하는 공문으로서, 습의처에서 달마다 사용할 초주지 등 잡물을 매일 진배할 일, 수직군사와 사환사령 등을 정해 보낼 일, 의주와 홀기를 언서(諺書)로 쓸 사자관과 화원을 관상감에 대령하게 하고 규장전운삼운성휘를 진배할 일, 원역에게 물금첩(勿禁帖)을 발급할 일, 진찬을 습의할 때 각 차비와 여령을 분정하고 예모관서원전악 등은 대령하여 교습시킬 일, 연습할 때 배설할 차일 등과 의장 등의 물건을 진배할 일, 언서의주와 각 언서홀기 등에 쓸 상품 도련지와 홀기에 쓸 초주지 등을 진배할 일, 사자관과 화원 등이 쓸 황필과 진묵 당주홍 등 각양의 물건을 진배할 일, 내일부터 행할 습의 때 예모관은 사지서원을 거느리고 일찍 대령하며 의녀와 침선비는 선명한 의상을 입고 해당 색리가 관상감에 명단을 보내며 연습 때 배설할 물건을 대령할 일, 황촉과 촉대를 진배할 일, 사자관을 추가하여 대령하며 도련지 등을 진배할 일, 전문과 진언홀기를 내전에 들일 때 쌀 홍정주(紅鼎紬) 등을 진배할 일, 하인과 여령 등이 입접할 임시 가옥에 쓸 자재를 진배할 일, 연습 때 악공과 악기를 대령할 일, 습의 날짜와 처소, 꽃은 화성 진찬 때의 것을 본으로 만들어 들일 일, 의장 수효, 습의처소를 예조로 변경하여 시행, 담장을 수축하여 잡인을 금할 일, 악장여령을 단장시킬 수모(手姆) 대령, 악장문(樂章文)을 활자로 찍어 내어 들일 일, 해당 기관에서는 진찬 당일에 궐문이 열리기를 기다려 빈양문 밖에서 대령할 일, 수모는 통화문 밖에서 대령할 일 등에 관한 기사들이다.

【용어해설】
물금첩(勿禁帖) : 금지하지 말라'는 뜻으로 발급한 첩. 특정 업무에 종사한 사람에게 발급하여 이들의 야간 통행이나 특정 처소의 출입 등 활동을 금지하지 말라는, 일종의 증명서, 또는 허가증 역할을 하는 문서이다.
차비여령(差備女伶) : 도감의 일을 돕기 위해 임시로 차출한 여령. '여령'은 진연 등에서 의장을 드는 여종이나 노래나 춤 또는 악기 연주 등을 맡은 기생을 일컫는 말이다.
상품도련지(上品搗鍊紙) : 도련지 가운데 상품. '도련'은 종이의 표면을 두드려 섬유조직을 견고하게 하는 작업을 말하는데, 도련한 종이는 얇으면서도 질기고 표면이 반드러워 글씨가 잘 써진다. 도련한 정도에 따라 상품, 중품, 하품으로 구별된다.
예모관(禮貌官) : 조선시대 국가적으로 행하는 의식에 관한 업무를 담당한 임시 관원.
관련문헌
[惠慶宮]進饌所儀軌
집필자
임민혁

■ 상전(賞典)

혜경궁의 관례 회갑을 축하하는 진찬 때 공을 세운 모든 사람들에게 내리는 상의 내역과 참여자 명단.
관련문헌
[惠慶宮]進饌所儀軌
집필자
임민혁

1809년(순조 9) 1월 22일에 관례 60돌을 맞은 혜경궁에게 치사와 표리를 올리고, 2월 27일에 진찬(進饌)을 올린 전말을 기록한 의궤.


원자료제목
표제 惠慶宮進饌所儀軌嘉慶十四年己巳二月日
판심제 禮曹上

[내용 및 특징]
1809년(순조 9) 1월 22일에 관례(冠禮) 60돌을 맞은 혜경궁에게 치사(致詞: 축하문)와 표리(表裏: 안팎 옷감, 예물)를 올리고, 2월 27일에 진찬(進饌)을 올린 전말을 기록한 의궤이다. 이 의궤는 장서각 유일본이다. 영국 국립도서관(British Library) 소장의 어람용(御覽用)『기사진표리진찬의궤(己巳進表裏進饌儀軌)』도 같은 내용을 담고 있지만, 편집체제가 다르며, 본 의궤보다 상세하다. 그렇다고 해서 『기사진표리진찬의궤』에 본 의궤의 실린 모든 내용이 다 있는 것은 아니므로, 두 의궤를 모두 참조할 필요가 있다.
이 책은 좌목(座目)·전교(傳敎)·계사(啓辭)·이문(移文)·내관(來關)·의주(儀註)·감결(甘結)·상전(賞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좌목」에는 1809년(순조 9) 2월에 혜경궁 진찬의례를 거행할 때 행사를 담당한 판서(判書)이면긍(李勉兢)홍명호(洪明浩)의 비롯하여 예조(禮曹)의 관원 및 공조(工曹)·상의원(尙衣院)·사옹원(司饔院)제조(提調)·집사서리(執事書吏)·거행서리(擧行書吏) 등의 이름이 실려 있다. 「전교」에는 1808년(순조 8) 12월 1일에 내년 1월 22일 혜경궁의 관례 회갑을 맞이하여 1795년(정조 19)에 거행하였던 혜경궁 환갑 생신 잔치 때 진찬했던 예사(例事) 따라 마련하라는 기사로 시작하여 혜경궁의 진찬과 관련된 왕의 전교 기사가 1809년(순조 9) 2월 26일까지 수록되어 있다. 
「계사」에는 따로 도감을 설치하지 않아서 별도의 낭청(郎廳)이 없는데, 예조의 낭청만으로 날마다 여령(女伶)을 연습시키기에 부족하여 공조상의원 낭청에서 각 1원을 차출하여 여령을 관장하게 할 일과 원역(員役)의 급료, 혜경궁의 의장에 관한 것 등 진표리와 진찬의 준비과정에 관한 기사가 실려 있다. 그리고 1809년 정월 22일에 혜경궁에게 올린 왕·의빈(儀賓)·척신(戚臣)의 전문과 치사, 왕비·좌우명부(左右命婦)의 치사와 2월 27일 진찬일에 혜경궁에게 올린 왕·왕비·좌우명부·의빈·천신·좌우명부 등의 치사 그리고 진찬의 초반부와 끝부분에서 불린 선창악장과 후창악장이 실려 있다.
「이문」에는 행사를 담당한 예조에서 각 관아에 보낸 공문으로 호조병조는 홀기(笏記)를 만드느라 수고한 사자관(寫字官)·화원(畵員)·책장(冊匠) 등의 요포(料布) 지급과 진찬 때 동원된 원역(員役)의 요포를 마련하여 지급하게 하고, 공조·상의원·혜민서는 여령의 빠진 수효를 시급히 뽑아 올려 보내도록 하고, 수원부는 수원에서 혜경궁 환갑잔치를 베풀 때 썼던 외고에 보관중인 은병 등을 올려 보낼 일 등에 관한 내용들이 실려 있다. 「내관」에는 예조로부터 지시를 받은 것에 대한 병조공조, 상의원, 수원부에서 예조에 회신한 공문이 수록되어 있다. 
「의주」는 혜경궁이 관례(冠禮)한지 회갑이 되는 해의 달을 맞아 이를 축하하기 위해 표리와 치사, 전문을 올리고 진찬하는 의례의 의절을 정리해 놓은 2종의 의주이다. 그 구성은 「혜경궁에게 대전과 중궁전 좌우명부 의빈 척신이 내전에서 치사와 전문 표리를 올리는 의절」과 「혜경궁에게 음식을 드리며 예를 행하는 의절」 이다. 그리고 의식의 절차 및 그에 따른 악곡이 명시되어 있어서, 전례(典禮)와 음악을 연구하는 데 아주 중요한 항목이다. 
「감결」은 예조에서 공조, 선공감, 사재감, 예빈시 등 각 기관에 협조를 요청하는 공문이다. 습의처에서 달마다 사용할 초주지 등 잡물을 매일 진배할 일, 수직군사와 사환사령 등을 정해 보낼 일, 의주와 홀기를 언서(諺書)로 쓸 사자관과 화원을 관상감에 대령하게 하고 규장전운삼운성휘를 진배할 일 등에 관한 기사들이 실려 있다. 「상전」에는 혜경궁의 관례 회갑을 축하하는 연향을 베푸는데 수고한 사람들에게 내리는 상으로 내역과 참여자 명단이 실려 있다.
맨 마지막에는 악기 이름과 그 악기를 연주한 악공의 이름이 수록되어 있어 진표리와 진찬에서 어떤 악기편성으로 음악을 연주했는지에 알 수 있다. 「의주」에 따르면 진표리에서는 헌가만 진설했고, 진찬에서는 헌가와 등가를 진설했는데, 악공 이름이 적힌 이 부분에서 소개한 진찬 악대는 하나이고, 그것도 고악헌가고취라고 표기하여 놓아서 혼란스럽다. 본 의궤의 ‘고악헌가고취’가 『기사진표리진찬의궤』에서는 ‘등가’로 표기되어 있을 뿐 아니라, 헌가의 악기편성이 더 서술되어 있다. 『기사진표리진찬의궤』가 정확한 설명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음에는 대전·혜경궁·왕대비·중궁의 의장을 들거나, 의빈·척신을 인접하고 찬탁을 차린 여령의 이름이 적혀 있다. 1809년에는 정재공연을 하지 않았으므로, 여령들의 소임은 의장을 들거나 찬탁을 차리는 일 등에 그치었다. 본 의궤에서는 이 부분에 표제가 적혀 있지 않지만, 『기사진표리진찬의궤』에는 공령이라는 표제를 달아 놓았다.
[자료적 가치]
왕과 왕비 및 대비전에 올린 연향의 의궤는 많으나, 혜경궁과 같은 빈의 위치에 있는 이에게 올린 연향 의궤로는 1795년(정조 19)의 『원행을묘정리의궤』1809년(순조 9)의 본 의궤·『기사진표리진찬의궤』 밖에 없다. 따라서 연향악 연구는 물론, 전례를 연구하는데 소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 『한국학자료해제-장서각소장의궤해제』 2권 / 申明鎬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2
  • 『純祖實錄』
집필자
김은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