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형분류 > 고서 > 등록 > 각양고유등록(各樣告由謄錄)

UCIG002+JSK+KSM-WR.1866.1111-20140415.K22526
분류
형식분류고서-등록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작성주체 - 기관단체
단체/기관명 규장각
작성지역
지역 한성 (현재주소 : 서울)
작성시기
연도 1868년
정보원표기 마지막 고유문의 제진 당시인 1868년(고종 5) 경으로 추정.
형태사항
크기(cm) 세로 : 36.1cm, 가로 : 24.7cm
판본필사본
장정선장(線裝)
수량1책(26장)
판식사주단변(四周單邊), 반곽(半郭) 24.8×18.2. 오사란(烏絲欄), 반엽(半葉)12행 24자, 상이엽화문어미(上二葉花紋魚尾), 주쌍행(註雙行)
재질저지(楮紙)
표기문자한문․이두
인장
개수형태색깔크기(cm)인문
1藏書閣印
비고
[청구기호]

K2-2526

[마이크로필름]

MF35-600

소장정보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현재주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번지)

■ 각양고유등록(各樣告由謄錄)

1813년(순조 13) 정월 2일부터 1868년(고종 5)까지 서울과 지방에 산재해 있는 각양 제단에 드린 고유문과 제문 등을 정리한 등록이다.
고유문은 대체로 동해묘(東海廟), 사직단(社稷壇), 태상시(太常寺), 관왕묘(關王廟), 선원전(璿源殿), 탄보묘(誕報廟), 계성사(啓聖祠), 사현사(四賢祠) 등에 보수해야 하는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고유하는 선고사유제, 이안제 및 환안제 축문이다. 이 외에 곡식을 운반할 때 운행로를 주관하는 해신과 해독신에게 올린 제문, 전염병이 돌았을 때 서울과 지방에서 드린 성황제(城隍祭)와 여제(厲祭)의 제문도 있다,
[용어 해설]

관련문헌
『各樣告由謄錄』(K2-2526)
집필자
김지영

■ 고유문 목록

1813년(순조 13) 정월부터 1868년(고종 5)까지 각 지방과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묘와 단, 전 등에 그 사유를 고하기 위해 작성된 고유문을 정리해 놓은 등록이다. 기존 건물을 보수하는 수개와 관련된 사유문이 가장 많다. 예를 들면, 서울과 지방의 관왕묘를 보수할 일이 발생하면, 먼저 보수공사를 하게 된 이유를 알리는 선고사유제를 드리고, 공사에 따른 신위의 불가피한 이동으로 인해 옮길 때 드리는 이안제와 다시 되돌려 놓을 때 드리는 환안제에 사용하는 축문이 대표적이다. 사직 신실, 태상시 신실, 선원전, 사직단, 계성사, 사현사 뿐만 아니라 그 외에 각 지역의 묘와 단을 수개할 때 고유하는 축문이 실려 있다. 곡식을 옮길 때 배가 지나가는 곳의 해신에게 무사히 지나가도록 기원하는 해신제, 해독제 축문, 서울과 지방에 발생한 전염병이 사라지길 기원하는 여제 축문, 성황발고제 축문 등도 있다.
그 목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영남과 호서의 곡식을 옮길 때 평해군에 있는 나포 및 동해묘(東海廟) 해독제(海瀆祭) 축문[지제교 강세윤이 지어 올림[製進]]
계유(1813년) 정월 22일 : 2월 초4일 절제(節祭) 겸행 둑소(纛所) 정당과 전사청 제관방 물스미는 곳[滲漏處]수개시 선고사유제, 이안제 및 환안제 축문[지제교 박기굉이 지어 올림]
영남의 곡식을 관북으로 옮길 때 지나가는 곳의 각 도내 해신제(海神祭) 축문[지제교 신재식이 지어 올림]
갑술(1814년) 7월 17일 : 8월 4일에 행하는 사직(社稷) 수개시 선고사유제, 이안제 및 환안제 축문, 8월 28일에 행하는 태상시(太常寺) 신실(神室) 수개시 선고사유제, 이안제 및 환안제 축문[검교직각 서준보가 지어 올림]
2월 14일 : 2월 15일 절향겸행 남관왕묘 수개시 선고사유제 축문[내각지제교 정원용이 지어 올림]
관동과 관북의 곡식을 영남으로 옮길 때 채비하여 출발할 때[裝載] 및 초경처(初境處) 해독제 축문[지제교 임처진이 지어 올림]
양서(兩西)의 곡식을 영남으로 옮길 때 채비하여 출발할 때 및 초경처 해신제 축문[지제교 이정병이 지어 올림]
을해(1815년) 정월 일 : 정월 26일 절향겸행 동관왕묘 수개시 선고사유제 축문[내각지제교 이학수가 지어 올림]
5월 6일 : 5월 7일 행하는 성황(城隍) 발고제(發告祭) 축문[지제교 한용의가 지어 올림]
5월 일 : 5월 10일 행하는 사교(四郊) 여제(厲祭) 축문[지제교 한용의가 지어 올림]
5월 7일: 8도 4도 성황발고제 축문, 8도 4도 여제 축문[지제교 한용의가 지어 올림]
임자(1852) 정월 일 : 8도 양도 여제 축문[홍문제학 이병모가 지어 올림]
임신(1872) 3월 일 : 황해도내 중앙읍 여제 축문[지제교 조종진이 지어 올림]
병자(1916년) 3월 일 : 3월 17일에 행하는 선원전 수개시 선고사유, 이안제 축문[내각 지제교 김이교가 지어 올림]
3월 29일 행하는 선원전 수개 후 환안제 축문[내각 지제교 정원용이 지어 올림]
8월 8일 : 8월 12일 행하는 도성 주맥(主脈)의 보토(補土)시 선고사유제 축문[내각 지제교 정원용이 지어 올림] 내각 지제교가 지어 올리는 것을 오래도록 정식으로 삼고, 향실의궤에 기록하도록 함. 삼각산 아래 보현봉(普賢峯)임.
정축(1817년) 7월 일 : 경상도 성주목 관왕묘 수개시 선고사유제 및 환안제 축문[내각 지제교 이학수가 지어 올림]
신미(1811년) 9월 8일 절향 겸행 동관왕묘수개시 선고사유제 축문과 남관왕묘 수개시 선고사유제 축문[내각 지제교 서준보가 지어 올림]
7월 7일 행하는 함경도 영흥부 불류수 제당 수개시 선고사유제, 이안제 및 환안제 축문, 평안도 숙천부(肅川府) 사직의 위판(位版) 조성 봉안제 축문[지제교 이희준이 지어 올림]
기묘(1819년) 3월 일 : 전라도 남원부 탄보묘(誕報廟) 수개시 선고사유제 축문[내각 지제교 정기선이 지어 올림]
6월 일 : 7월 2일 행하는 사직단 수개시 선고사유제 축문, 계성사(啓聖祠) 수개시 선고사유제, 이안제 및 환안제 축문[지제교 이익회가 지어 올림]
경진(1820년) 2월 11일 절제겸행 사현사(四賢祠) 수개시 선고사유제, 이안제 및 환안제 축문[지제교 윤풍렬이 지어 올림]
3월 15일 : 경기도 교동부에 있는 사직의 신실 수개시 선고사유제, 이안제 및 환안제 축문[지제교 임존상이 지어 올림]
신사(1821년) 정월 일 : 2월 3일 절향겸행 동관왕묘 수개시 선고사유제 축문, 남관왕묘 수개시 선고사유제 축문[내각 지제교 정기선이 지어 올림]
경상도 성황발고제 축문, 여제 축문, 양서 여제 축문
임오(1822년) 10월 일 : 함경도 성황발고제 축문, 별여제 축문, 위안제 제문, 제주목 위안제 제문[지제교 조인영이 지어 올림]
3월 12일이 행하는 동관왕묘에 장신(將臣)을 보내 섭행하는 전작례의 축문.
임진(1832년) 4월 일 : 전라도 강진현 탄보묘에 사신(師臣)을 보내 전작례한 축문, 남원부 관왕묘에 사신을 보내 전작례한 축문[지제교 이긍우가 지어 올림]
경상도 안동부 성주목
병오(1846년) 4월 9일 행하는 남관왕묘에 장신을 보내 섭행한 제사의 축문, 같은 날 동관왕묘에서 친히 전작례를 할 때 동서배위에 나누어 전작례를 행한 축문, 동서(東西) 문신제(門神祭) 축문[내각 지제교 홍순목이 지어 올림]
윤5월 26일 행한 선원전 중수시 이안제 고유문[내각 제학 조병현이 제진함]
전라도 제주목 풍운뇌우단 신실 개건시 선고사유, 이안제 및 환안제 축문[지제교 이교영이 지어 올림]
9월 12일이 행하는 남관왕묘에서 친히 전작례를 할 때 동서배위 분작례 축문, 동서 문신제 축문[내각 지제교 윤정현이 지어 올림]
9월 5일 절향 겸행 남관왕묘 수개시 선고사유제 축문, 같은 날 절향 겸행 둑소 정당 수개시 선고사유제 축문[지제교 이교영이 지어 올림]
경상도 안동부 관왕묘 수개시 선고사유제 축문[내각 지제교 윤정현이 지어 올림]
경상도 성주목 관왕묘 수개시 선고사유제 축문[내각 지제교 홍순목이 지어 올림]
정미(1847년) 2월 28일 : 충청도 덕산땅 성상(聖上) 태실가봉시 선고사유제 축문, 고후토제 축문, 사후토제 축문[지제교 박채만이 지어 올림]
무신(1848년) 2월 1일 절향 겸행 동관왕묘 수개시 선고사유제 축문, 남관왕묘 수개시 선고사유제 축문[내각 지제교 김병덕이 지어 올림]
6월 13일에 행하는 계성사 정당 수개시 선고사유제, 이안제 및 환안제 축문[지제교 유진한이 지어 올림]
8월 11일 행하는 봉상시 신실 수개시 선고사유제, 이안제 및 환안제 축문[지제교 홍익섭이 지어 올림]
2월 12일 절향 겸행 동관왕묘 수개시 선고사유제 축문, 남관왕묘 수개시 선고사유제 축문[내각 지제교 윤자진이 지어 올림]
함경도 경원부 두만강 제당 개수시 선고사유제, 이안제 및 환안제 축문[지제교 조석여가 지어 올림]
경기 양근군 사직 신실 개건시 선고사유제, 이안제 및 환안제 축문[지제교 이정하가 지어 올림]
7월 28일 행하는 대성전 수개시 선고사유제, 이안제 및 환안제 축문, 계성사 수개시 선고사유제, 이안제 및 환안제 축문[지제교 신석희가 지어 올림]
경기 부평부 사직 신실 개건시 선고사유제, 이안제 및 환안제 축문[지제교 유채준이 지어 올림]
10월 10일 행하는 강원도 양양부 동해묘의 사우 수개시 선고사유제, 이안제 및 환안제 축문[지제교 이승수가 지어 올림]
신해(1851년) 2월 27일 행하는 선원전 증건시 이안제 고유문[대제학 조두순이 지어 올림]
경기 용인현 사직 신실 개수시 선고사유제, 이안제 및 환안제 축문, 경기 지평현 사직 신실 개건시 선고사유제, 이안제 및 환안제 축문[지제교 윤 육이 지어 올림]
9월 1일 절향겸행 동관왕묘 수개시 선고사유제 축문, 남관왕묘 수개시 선고사유제 축문[직제학 정기세가 지어 올림]
9월 1일 절향겸행 둑소 수개시 선고사유제, 이안제 및 환안제 축문[지제교 박문현이 지어 올림]
9월 22일 행한 관리사(關里祠)의 옛 영정을 궤에 봉하는 고유제 축문, 강릉 제천에 봉안되어 있는 성상(聖像)을 배종해 와 봉안하는 고유제 축문[지제교 윤철구가 지어 올림]
10월 6일 행한 대성전 수개시 선고사유제와 환안제 축문, 계성사 수개시 선고사유제, 이안제 및 환안제 축문[지제교 이유겸이 지어 올림]
경상도로 이운하는 곡식이 항구를 떠날 때 드리는 해신제 축문[지제교 송겸수가 지어 올림]
정월 15일 절향겸행 동관왕묘 수개시 선고사유제 축문, 남관왕묘 수개시 선고사유제 축문[내각 지제교 정건조가 지어 올림]
경기 교하군에 있는 사직의 신실 수개시 선고사유제, 이안제 및 환안제 축문[ 지제교 이종순이 지어 올림]
정월 26일 절향겸행 동관왕묘 수개시 선고사유제 축문, 남관왕묘 수개시 선고사유제 축문[내각 지제교 이용은이 지어 올림]
2월 3일 대제겸행 사직 수개시 선고사유제 축문[지제교 성재구가 지어 올림]
경기 남양부 사직 신실 수개시 선고사유제 및 환안제 축문[지제교 김진형이 지어 올림]
경기 음죽현 사직 신실 수개시 선고사유제 및 환안제 축문[지제교 유채은이 지어 올림]
안동부 성주목 관왕묘 수개시 선고사유제 축문[내각 지제교 이용은이 지어 올림]
9월 21일 절향겸행 동관왕묘 수개시 선고사유제 축문, 남관왕묘 수개시 선고사유제 축문[내각 지제교 윤자진이 지어 올림]
같은 날 절향겸행 둑소 수개시 선고사유제 축문[지제교 목인회가 지어 올림]
계축(1853년) 11월 일 : 관동과 관북의 곡식을 남쪽으로 옮길 때 배의 출발 및 지나가는 여러 도의 해신제 축문[지제교 목인회가 지어 올림]
2월 8일 절향겸행 동관왕묘 수개시 선고사유제 축문, 남관왕묘 수개시 선고사유제 축문[내각 지제교 김덕근이 지어 올림]
전라도 순천부의 3읍에 난 홍수[水療] 재해를 입은 백성들을 위로하는 위유문(慰諭文)[예문관 제학 이돈영이 지어 올림]
봉상시 신실 수개시 선고사유제, 이안제 및 환안제 축문[지제교 조은승이 지어 올림]
임술(1862년) 7월 일 : 평안도 평양부 성황발고제 축문, 별여제 축문[지제교 이정노가 지어 올림]
8월 7일 석전대제겸행 대성전 수개시 선고사유제, 이안제 및 환안제 축문, 계성사 수개시 선고사유제, 이안제 및 환안제 축문, 8월 8일 절향 겸행 사직신실 수개시 선고사유제 축문[지제교 김두흠이 지어 올림]
8월 18일 : 황해도 성황발고제 제문, 별여제 제문[지제교 윤현기가 지어 올림]
8월 19일 : 개성부 성황발고제 제문, 별여제 제문[지제교 홍철주가 지어 올림]
9월 2일 절향겸행 동관왕묘 수개시 선고사유제 축문, 남관왕묘 수개시 선고사유제 축문[내각 지제교 이교익이 지어 올림]
계해(1863년) 정월 13일 : 정월 17일 행하는 절향겸행 동관왕묘 수개시 선고사유제 축문, 남관왕묘 수개시 선고사유제 축문[내각 지제교 이승순이 지어 올림]
정월 17일 절향 겸행 둑소 수개시 선고사유제 축문[내각 지제교 홍철주가 지어 올림]
동관왕묘 수개시 선고사유제 축문[내각 지제교 조성하가 지어 올림]
[용어 해설]
평해군 : 현재의 경북 울진군 평해읍.
탄보묘(誕報廟) : 관왕묘의 이칭. 1763년(숙종 39) 이이명의 소로 ‘탄보묘’라고 어필 사액한 뒤부터 탄보묘라 불림.
계성사(啓聖祠) : 중국의 다섯 성인인 공자, 안자, 증자, 자사, 맹자의 아버지를 모시기 위하여 지은 사당. 1701년(숙종 27) 성균관 대성전 서북쪽에 지어짐.
동해묘(東海廟) : 국가에서 모시는 3대 해신 중 동해를 수호하는 동해신의 사당. 강원도 양양에 있음.
관련문헌
『各樣告由謄錄』(K2-2526)
집필자
김지영

1813년(순조 13) 정월 22일부터 1868년(고종 5)까지 중앙정부에서 작성하여 사직단 등에 내려 보낸 고유문을 규장각에서 정리하여 편찬한 등록.


원자료제목
표제각양고유등록(各樣告由謄錄)

[내용 및 특질]
편찬자는 규장각이며, 편찬 시기는 마지막 고유문의 제진 시기인 1868년(고종 5)으로 추정된다. 제사의 대상은 해신(海神), 사직단(社稷壇), 태상시(太常寺), 관왕묘(關王廟), 성황(城隍), 여제(厲祭), 선원전(璿源殿), 탄보묘(誕報廟), 계성사(啓聖祠), 사현사(四賢祠) 등 향교의 문묘를 제외한 지방의 모든 제단을 망라하고 있다.
고유문의 작성자는 지제교(知製敎), 규장각검교(奎章閣檢校), 내각지제고(內閣知製敎), 홍문관제학(弘文館提學), 대제학(大提學), 직제학(直提學), 예문제학(藝文提學) 등이다. 홍문관과 예문관, 규장각 등의 관원들은 지제교를 겸직하고 있으며, 이들이 고유문이나 치제문, 반교문 등을 제진하였다.
1816년(순조 16) 8월의 고유문을 보면, 제목 아래에 작은 글씨로 내각지제교가 제진하는 것을 영정(永定)하였다는 사실을 기록하였다. 각 지방에 산재해 있는 여러 사당이나 제사에 쓰이는 각양의 고유문은 소속 행정구역의 장이나 유사, 혹은 단체에서 담당하여 작성한 것이 아니라, 중앙정부에서 직접 담당하였다. 이것은 국가제례의 구조 하에서 모든 제사가 갖는 시대적 성격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등록에 기재된 고유문의 명칭은 매우 구체적이다. 예를 들어 ‘오는 7월 초2일에 행할, 사직단 남쪽과 북쪽 유의 회칠과 담당이 무너지고 서쪽 유의 문이 넘어진 곳을 수리할 때 먼저 사유를 아뢰는 제사의 축문’이라 하여, 제사의 시행 날짜, 장소와 사유 등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었다.
고유의 사유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경우는 수개(修改)이다. 사당을 보수하고나 개건(改建)할 때, 그 아유를 아뢰는 사례가 가장 많다. 신실을 보수할 때에는 신위를 이안하게 되며, 완공되고 난 후 환안(還安)할 때에는 반드시 환안제를 지내는데, 그 축문도 실려 있다. 다음으로 성황발고제(城隍發告祭)와 여제(厲祭)의 축문이 많이 실려 있다. 사당에서의 축문 이외에 위판을 조성한다던지, 관왕묘에서 전작례와 섭행제, 동서배위분작례(東西配位分酌禮) 등이 있으며, 탄보묘의 전작례와 관리사(關里祠)에서의 구영정궤(舊影幀樻) 봉안 때의 제사도 있다.
고유문의 형식은 대체로 고유의 사유만을 간단하게 쓴다. 1구에 4자씩 4구로 구성되었다. 그에 반해 여제의 축문이나 성황발고제축문, 위유문, 위안제문 등은 이에 비에 매우 길다. 형식에 있어서도 ‘王若曰’로 시작하는 교서의 형식을 갖추고 있음이 다른 고유문과 다르다.
[자료적 가치]
이 등록에 실린 각약의 고유제는 하사(下祀)에 속하는 제사들이다. 조선의 국가의례는 대사, 중사, 하사로 나뉘는데, 하사라 하더라도 제사의 주체인 국왕의 치제가 형식적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하사가 국가제사 속에서 차지하는 지위와 의례의 성격 및 국가지배방식과의 연관성 등을 이 자료를 통해 찾아볼 수 있다.
참고문헌
  • 『各宮及鄕校告由文謄錄』(장서각, 2-2402)
  • 『장서각소장등록해제』 / 국학진흥연구사업추진위원회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2
집필자
1차 집필자 : 임민혁, 2차 집필자 : 성인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