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족보
- 족보의 역사
성씨 관계의 족보는 원래 중국의 육조(六朝)시대에 시작되었는데, 이는 주로 왕실의 계통을 기록하기 위한 것이었다. 중국에서 개인이 족보를 갖게 된 것은 漢나라때 관직을 위한 賢良科를 실시하면서 응시생의 내력과 조상의 업적을 기록하기 시작한 것이 시초라 한다. 특히 北宋의 문장가이었던 소순(蘇洵)·소식(蘇軾)·소철(蘇轍)에 의해서 편찬된 족보는 그 후 모든 족보의 모범이 되었다. - 왕실족보(王室族譜)
『선원록』은 식년마다 왕의 친족들을 파악하여 수록한 것으로 왕친을 예우하는 근거가 되는 보첩이다. 『선원록』이 왕실 보첩으로 체제를 갖추게 되는 것은 1412년(태종 12)이다. 태종이 체제를 마련한 『선원록』은 1428년(세종 10)에서 부터는 10년에 한 번씩 중수하고, 매 3년마다 수정되었다. 이때 『선원록』의 수록 대상은 내·외 6대손까지로 한정되었다. - 사가족보(私家族譜)
작성한 사람이 자기의 가계를 직계에 한정하여 밝힌 계보로, 이를 가첩(家牒)·가계(家系)·세계(世系)라 하기도 한다. 가승의 기록방식은 선대로부터 자기의 부(父)에 이르는 일직선상의 조상과 그 각 조상의 배우자를 세대별로 기록하고 그들의 전기사항을 밝힌 것이다. 가승(家乘) 중에는 작성자의 고조부터 자손 전부를 기록한 가승도 있다. - 특수족보
마을을 단위로 하여 그 마을의 특색을 나타내기 위하여 작성된 보첩을 말한다. 경기도 안산 지역의 옛 지명은 연성(連城)이라고도 하였는데, 일대의 주요 성씨들 계보를 적어 편집한 것이 『연성성보(連城姓譜)』이다. 전라도 여수의 경우는 『여수향보(麗水鄕譜)』가 있고, 경상도 함양군에는 『함양군삼성족보(咸陽郡三姓族譜)』가 있다. - 종합보
본 장서각 소장 『만성보(萬姓譜)』는 19세기에 편찬된 대표적인 종합보의 하나이다. 편자미상(編者未詳)이고, 필사는 고종년간(高宗:1864 - 1895)에 한 것으로 보이며, 책은 불분(分卷) 되지 않은 15책이다.
1책 왕실과 전주이씨, 2·3책 李, 4책 金, 5책 金·朴, 6책 趙, 7책 鄭·閔·吳·兪, ....